12권 2책(乾 坤)이 완질이나 현 6권1책(乾)만 있습니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만 소장하고 있는 희귀본입니다 가로 약 18.5×세로 약26cm 노루지 겹장본 지금은 사라지고 없는 납활자본(鉛活字연활자 )입니다 (물론 최근 어느 개인이 한글납활자를 수집하여 재현한다고 다큐멘터리로 본적은 있습니다) ============ 이하 출처 : 민족대백과사전 대동사강(大東史綱)근대사문헌 오진영의 대동사강 중 표지 분야근대사유형문헌시대근대성격역사서편저자김광제작시기1928년(저술), 1929년(간행) 권수12권 2책간행자대동사강사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정의 단군조선부터 대한제국 순종까지의 우리나라 역사를 기록하여 1929년에 간행한 역사서. 내용 연인본(鉛印本). 12권 2책. 1928년 탈고하여 이듬해인 1929년 대동사강사에서 간행하였으며, 경문사(景文社)에서 1975년 다시 영인하였다. 박인호(朴寅浩)·민경호(閔京鎬)·이명상(李明翔)의 서문과 목록, 「동국역대제왕전수통도(東國歷代帝王傳授統圖)」가 있다. 단군 개국 이래 고려 원종까지 6권을 상권으로, 고려 충렬왕 원년(1275) 이후 융희 4년(1910) 한일합방까지 6권을 하권으로 하였다. 서술은 편년 순서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본문은 한문 원문에 현토를 달았다. 연대표기는 간지(干支)를 앞세우고 다시 왕의 재위 연대를 적는 방식을 취하였으며, 삼국의 연기는 고구려, 신라, 백제의 순으로 적고 있다. 개인적인 의견은 쌍행의 주석이나 ‘안’설로 덧붙이고 있다. 권1은 단씨조선기(檀氏朝鮮紀)·기씨조선기(箕氏朝鮮紀)·한기(韓紀)·마한급고구려신라백제기(馬韓及高句麗新羅百濟紀), 권2는 고구려신라백제기(高句麗新羅百濟紀), 권3은 고구려발해신라고려기(高句麗渤海新羅高麗紀), 권4∼8은 고려기(高麗紀), 권9∼12는 조선기(朝鮮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편년체 서술방식, 도덕론적인 역사인식 등 유교적 역사인식을 근간으로 하면서도 단군조선이 한·기씨조선·부여·예·맥·옥저·숙신 등 남·북방의 여러~대화큰방진열2 아래서두번째칸1
거래희망지역